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하품할때 목아픔 원인과 치료

by 대장해몽 2024. 11. 25.

하품을 할 때 턱에서 " 뚝 " 하는 소리가 나면서 목이 아플 때가 있는데, 그럴 땐 턱관절장애를 의심해야 하는데 오늘은 하품할 때 목이 아픈 것에 대하여 원인과 치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1. 턱관절장애란?

좌우 귀 앞쪽에 위치는 턱, 관절이 제 위치를 벗어나서 입을 벌리거나 닫을 때 턱디스크가 긁히면 소리나 불편함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초반에는 대게 사각사각 뚝뚝 거리는 소리, 통증이 나타나다가 시간이 지나 턱스크가 다 닳아 없어지면 개구장애가 발생이 합니다.

2. 하품할 때 턱에서 소리, 통증 발생 원인은?

*  음식을 한쪽으로 씹기

*  턱괴기, 이갈이, 손톱 물어 뜨기, 껌 씹기

*  오징어 등 단단한 음식 선호, 한쪽으로 누워 자기

*  분유 수유로 턱뼈 미발달, 부정교합, 수술이나 교통사고

 

3. 하품을 하면 몸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  눈물이 나온다: 쥐가 하품을 해도 눈물이 나온답니다.

*  대뇌의 각성 : 주로 안면의 근육 운동이 각성 중추를 자극해 대뇌가 각성하며, 근육 운동을 매개하지 않고. 실방핵이 각성 중추를 직접 자극하는 경로가 있습니다.

*  근육이 늘어난다 : 하품할 때 빰에 있는 " 교근 " 등의 근육이 강하게 끌어당겨지며, 온몸이 늘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  깊은 호흡 :하품을 하면 숨을 크게 들이쉬게 된답니다.

4. 산소 부족이 원인이라는 말은 사실인가?

뇌출혈이나 빈혈 등 뇌 안의 혈액 순환에 장애가 일어난 장애가 일어난 환자는 때로 하품을 한다. 또 동물 실험에서, 하품의 중추에 해당하는 뇌의 " 실방핵 "을 저산소 상태로 하면 하품이 일어나며,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뇌 안의 산소부족이 하품을 일으키는 요인의 하나임은 확실합니다.

 

5. 하품할 때, 재채기할 때, 목이 아파요

재채기 하품 시 목통증은 악이복근 방사통입니다, 이 복근은 편도선의 지배적인 근육으로, 이복근 손상 시 턱이 두 개로 되지만 이중턱이며, 흉쇄유돌근과 유사한 증상을 일으키고, 이복근은 하악을 벌리는 기능을 하는 근육으로 즉 입을 벌릴 때 하품처럼 입을 크게 벌릴 때 이복근 손상 시 통증이 오는 것입니다. 이복근 손상 시 연하곤란 즉 삼키는 기능에 문제가 올 수 있습니다.

6. 입 벌릴 때통증 방심은 금물. 턱관절 장애가 아닌지 의심해 봐야 !

하품으로 입 벌릴 때 통증이 지속된다면 턱관절 장애가 있는 것은 아닌지 치과를 방문해 정밀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으며, 턱관절 장애란 두개골의 아래 부위인 하악골의 후방부위인 하악과두를 맞물려주게 하는 턱관절과 주변조직 관련된 근육들에 염증이 생기거나 손상된 경우 턱관절 장애가 발생했다고 말합니다.

7. 입 벌릴 때통증 있다고 모두 턱관절 장애일까요?

입 벌릴 때통증이 있다고 모두 턱관절 장애가 아닐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라면 턱관절 장애를 의심하고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 입을 벌리거나 음식을 먹을 때 소리 나는 경우.

* 입이 잘 벌어지지 않는 경우.

* 아침에 일어나면 턱이 뻐근하고 아픈 경우.

* 턱이 습관적으로 빠지는 경우.

* 안면비대칭. 부정교합이 발생하는 경우.

8. 입 벌릴 때통증 있는 턱관절장애 어떻게 치료하나요?

턱관절 장애 치료에 가장 중요한 것은 턱관절 문제의 원인, 턱관절 장애 시기, 증상 등 현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입니다. 시기에 따라 치료 방법과 과정이 달리질 수 있기 때문으로. 초기에는 자가 관리 및 주의사항 교육을 통해 평소 턱관절에 나쁜 영향을 미쳤던 습관을 개선하고, 비교적 간단한 물리치료로 턱관절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만큼 초기 치료가 중요하며, 턱관절 장애의 경우 수술보다는 비수술적 치료를 중심으로 치료가 진행되게 되며, 사람마다 치료의 방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정밀한 검사를 통해서 어느 정도 장애를 겪고 있는지 확인한 후, 정도에 따라 물리치료, 인지 행동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으로 시작됩니다.  심할 경우에는 턱관절안정화장치, 보톡스 주사 요법, 조직재생주사요법 등을 이용해 치료를 진행하게 되며, 턱관절장애는 정확한 상담과 진단이 이루어지지 않고 치료를 진행하게 되면, 오히려 악화될 수 있으니 의료진고 상담을 통해 알아보시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9. 하품. 구토. 복통 등 편두통 " 예고 증상 " 있어

편두통은 단순히 두통만 있는 것이 아니라 증상이 제 각각이며, 성인이 겪는 편두통 중 80% 를 차지하는 게 무조짐 편두통인데, 피로감, 무기력감, 하품, 울렁거림, 구토, 집중력 저하, 근육 경직. 갈증. 복통 같은 다양한 예고 증상이 나타난 뒤 두통이 온다, 두통이 바로 나타나지 않고 예고 증상을 겪은 뒤 길게는 이틀 후에 두통이 생기는 경우도 있어서, 단순한 과로. 스트레스. 소화불량쯤으로 여기고 지나치기도 한답니다.

 

 

10. 유발요인 피하고, 생활습관 개선

자신이 어떤 상황에서 편두통을 겪는지 확인하고, 그 상황을 피해야 하고, 유발 요인을 피하기 어렵거나, 편두통을 1주일에 두 번 이상으로 자주 겪는다면, 약을 복용해야 하며, 사람마다 다르지만, 주로 항우울제. 항경련제. 베타차단제 등을 쓴답니다.